junit

·코딩딩/Spring
이번 포스팅에서는 Mockito를 활용해 Mock 객체를 만들고, 원하는 동작을 지정(Stubbing)하고, 메서드 호출 여부나 호출 순서를 검증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예제 코드는 JUnit5와 Mockito를 사용하고 있으며, @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를 통해 Mockito 관련 설정을 편리하게 적용했다.Mockito 기본 개념Mock 객체란?실제 객체처럼 동작하지만, 프로그래머가 원하는 대로 그 객체의 행위를 설정(Stubbing)할 수 있는 가짜 객체다. Mockito를 사용하면 아주 간단히 Mock 객체를 만들고 관리할 수 있다. Mock 객체를 통해 외부 의존성을 가진 코드(예: DB 접근, 외부 API 호출)를 테스트 시점에 격리시키고, 원하..
·코딩딩/Spring
자바 개발자라면 단위 테스트를 작성할 때 가장 먼저 손이 가는 게 바로 JUnit다. JUnit5는 JUnit4에 비해 많은 변화가 있었고, 특히 스프링 부트 2.2버전부터는 스프링 부트 스타터를 통해 별다른 의존성 설정 없이 바로 JUnit5를 쓸 수 있게 해줬다. (물론 스프링 부트를 안 써도 JUnit 의존성만 추가하면 바로 가능하다.)Junit5를 쓰면서 굳이 public 접근 제어자를 붙일 필요도 없다. 이는 테스트 메서드를 찾고 실행할 때 리플렉션(Reflection)을 활용하기 때문인데, 이 덕분에 접근제어자 관련 제약이 줄어든다.Reflection: 자바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클래스 구조나 메서드 정보를 파악하고, 접근이 불가능할 것 같은 private 멤버에도 접근할 수 있는 기술이다. ..
전낙타
'junit'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