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수를 처리하는 것은 통계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일이다. 통계학에서 N개의 수를 대표하는 기본 통계값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단, N은 홀수라고 가정하자.
- 산술평균 : N개의 수들의 합을 N으로 나눈 값
- 중앙값 : N개의 수들을 증가하는 순서로 나열했을 경우 그 중앙에 위치하는 값
- 최빈값 : N개의 수들 중 가장 많이 나타나는 값
- 범위 : N개의 수들 중 최댓값과 최솟값의 차이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네 가지 기본 통계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500,000)이 주어진다. 단, N은 홀수이다. 그 다음 N개의 줄에는 정수들이 주어진다. 입력되는 정수의 절댓값은 4,000을 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에는 산술평균을 출력한다. 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중앙값을 출력한다.
셋째 줄에는 최빈값을 출력한다. 여러 개 있을 때에는 최빈값 중 두 번째로 작은 값을 출력한다.
넷째 줄에는 범위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
3
8
-2
2
예제 출력 1
2
2
1
10
예제 입력 2
1
4000
예제 출력 2
4000
4000
4000
0
예제 입력 3
5
-1
-2
-3
-1
-2
예제 출력 3
-2
-2
-1
2
예제 입력 4
3
0
0
-1
예제 출력 4
0
0
0
1
(0 + 0 + (-1)) / 3 = -0.333333... 이고 이를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면 0이다. -0으로 출력하면 안된다.
정답
딕셔너리 응용에 좀 더 익숙해질 필요가 있을것같다.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 반복할 횟수 입력
n = int(input())
# 입력값을 넣어줄 배열 생성
array = []
# 배열에 원하는 값을 n번 넣어준다
for i in range(n):
array.append(int(input()))
# 오름차순으로 정리
array.sort()
# 평균값을 반올림하여 print
print(round(sum(array)/n))
# array의 중앙값을 출력한다.
print(array[(n//2)])
# 최빈값을 구현하기 위해 딕셔너리 자료구조를 사용했다.
dic = dict()
# array에 들어있는 값을 하나씩 다 넣어준다.
for i in array:
# 만약 dic 안에 i와 같은값의 Key가 있다면
if i in dic:
# dic[i]에 할당된 value에 1을 더해준다.
dic[i] += 1
# 만약 dic 안에 i와 같은값의 key가 없다면
else:
# dic[1]는 1이다
dic[i] = 1
# maxValue에 dic의 value중 가장 큰 값을 대입해준다.
maxValue = max(dic.values())
# maxDic는 최빈값이 저장된 key값을 저장해줄것이다
maxDic = []
# 딕셔너리 형식을 for문으로 돌리면 key값이 들어간다.
for i in dic:
# 만약 최빈값의 중복 횟수인 maxValue와 dic[i]의 value가 같으면
if maxValue == dic[i]:
# 딕셔너리의 key값을 maxDic에 더해준다.
maxDic.append(i)
# 만약 maxDic에 1개 이상의 값이 들어간다면
if len(maxDic)>1:
# 2번째 값을 프린트
print(maxDic[1])
# maxDic에 1개의 값만 있다면
else:
# 1번째 값을 프린트
print(maxDic[0])
# 아까 정렬해둔 배열을 기반으로 가장 끝값과 끝값을 빼준다.
print(array[-1] - array[0])
'코딩딩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1475] 문제풀이 (0) | 2023.05.31 |
---|---|
[백준 18111번] 문제풀이 (0) | 2023.05.31 |
[백준 7568번] 문제풀이 (0) | 2023.05.28 |
[백준 15686] 문제풀이 (1) | 2023.05.28 |
[백준 16926] 문제풀이 (0)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