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afton_Jungle/Study

뇌가 녹아내릴것같다. 그동안 비교적 쉬운 초급 - 중급 문제를 풀다가 상급 문제에 비벼보려고 하니 정신이 나가버릴것같다. 백준 문제풀이 1. 1655 가운데를 말해요 처음엔 단순 힙을 구성하고, 중간에 위치한 노드의 자식을 탐색하는 식으로 도전했다가 도저히 안돼서 결국 답지를 봤다. 해당 풀이는 평균보다 높은 값을 저장하는 최대힙과 최소힙을 생성하고, 총 숫자의 수가 홀수일땐 최대힙에, 짝수일땐 최대힙에 값을 집어넣고, 서로의 루트를 비교한 뒤 더 작은 수를 left의 루트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풀이했다. 2. 2805 나무자르기 간단하다. (답지봄) 목표값에 해당되는 값이 나올때까지 범위를 조정해가며 반복한다. 3. 9663 N-Queen 이것도 좌표 압축까지는 성공했는데 결국 조건 설정을 못해서 답지를..
백준 문제풀이 1629 곱셉 귀납법 써서 풀었음 하노이의 탑 생각하면서 푸니깐 실마리가 보였다. 2493 탑 탑의 갯수만큼 배열을 선언하고, 스텍에 탑을 쌓은 뒤, 조건에 부합하면 해당 인덱스에 탑의 위치를 넣어주는 방식으로 해결했다. 골드치고는 쉬운편 2504 괄호의 값 이건 디버깅을 하며 보면 이해가 편한데 괄호가 닫히기 전까지의 해당 괄호의 값을 곱해준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현재 값의 상태를 저장해두는 tmp와 그렇게 괄호가 닫히면 현재 값을 저장해주는 result를 선언해서 풀었다. 2630 색종이 전형적인 분할정복 문제. 3일 연속으로 재귀만 지긋지긋하게 봤더니 어렵지 않게 풀었다. 3190 뱀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 방향 : 우 상 좌 하 direction =..
1. 1181 단어정렬 문자열을 나눠서 정렬해보고 싶었지만 풀어야 할 문제가 많이 남아, 좀 더 활용하기 좋은 문제에서 사용해보기로 했다. 2. 1920 수찾기 # 일곱난쟁이 온몸비틀기 import sys input = sys.stdin.readline def binary_search(start, end, target): if start > end: print(0) return mid = (start+end) // 2 if arr[mid] == target: print(1) return elif arr[mid] target: binary_search(start, mid - 1, target) #..
CS:APP 1. 정보는 비트와 컨텍스트로 이루어진다. bit 메모리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0과 1을 저장할 수 있다. hello.c 위 사진과 같은 프로그램은 0과 1의 비트들의 연속으로, 8비트(1byte)로 구성된다. ASCII 대부분의 컴퓨터는 문자를 ASCII 표준을 사용해서 표현한다. 개행 문자의 경우, \n으로 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hello.c는 오로지 아스키 문자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런 파일들을 텍스트 파일이라고 한다. 그 외 모든 파일을 바이너리 파일이라고 함. 컨텍스트 호출 응답간의 환경 정보, 서로 다를 객체들을 구분하는 방법이라고 한다. 딱 정의되어 있는 개념이 아닌 추상적인 개념이라 컴퓨터 공학을 공부하다 보면 심심치않게 만나볼 수 있는 단어. 아직은 익숙하지 않아 ..
비선형 자료구조 1. 트리 트리란? 트리란 뱡향성이 있는 비순환 그래프이다. 뒤집었을 때 뻗어나가는 나무의 형상을 해서 트리라고 한다. 트리의 구성 요소 가장 상위의 노드는 root 라고 하고, 가장 바깥 노드는 leaf, 그 외 노드는 branch 라고 한다. 사실상 명칭의 차이만 있을 뿐 모든 노드의 구성 요소는 일치한다. 트리의 특징 계층적 속성을 갖는 자료를 선형 구조로 표현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되었다. 모든 노드들은 하나의 루트 노트에서 시작한다. 뱡향성은 부모에서 자식으로만 연결, 같은 계층에 노드끼리는 연결하지 않는다. 임의의 노드에서 출발하여 자기 자신으로 되돌아올 수 없다. 간선의 갯수는 노드의 갯수 -1 이다. 이진트리란? 트리와 거의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
오늘 발표를 마무리 하고 이제 본격적으로 알고리즘 학습주차에 접어들었다. 본격적으로 알고리즘 학습주차에 들어가기 전 백승현 코치님께서 기본적으로 알고 가야 할 개념들에 대해 한번씩 집어주셨다. 알고리즘을 시작하기 전 정확히 알고있어야 하는 개념들 1. 링크드 리스트, 배열 링크드 리스트와 배열은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링크드 리스트는 각 메모리가 연속되어 나열되는 배열의 개념과는 다르게 현재 값과 다음 순서의 자료가 있는 주소를 가르키는 데이터를 하나의 노드로 묶어 배열을 구성한다. 링크드 리스트와 단순 배열의 가장 큰 차이는 저장된 값의 배열이 메모리 상에 연속되는지 아닌지 차이다. 장점 단점 배열 배열의 경우 정적 자료구조에 해당하며, 최초 할당 시 미리 크기를 정해놓게 되어 연속된 메모리 ..
나는 jwt 토큰을 지배할 수 있다. 우선 나는 직접 데코레이터를 작성해서 토큰을 조회하고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를 판별하는 방법을 사용해왔는데. 작업을 다 완료하고 나서 jwt_extended 라이브러리에서 쿠키에 저장된 토큰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는 소식을 전해들었다. 공식 문서에도 안 나와있어서 포기했는데 알고보니 훨씬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더라... 그래도 토큰을 직접 제어해봤다는 부분에 의의를 둬야겠다. 첫글 첫주에 진행하는 프로젝트의 현재 개발 진행도는 95%정도 이뤄졌다고 봐도 무방할것같다. 배포는 마쳤고 실제로 사용해보는 유저들도 나왔으니 성취감이 장난이 아니다. 비록 규모는 작지만 이틀하고 반나절에 걸리는 시간동안 실제로 서비스를 제작하고 배포를 마치다니... 처음부터 프로..
난 JWT 토큰이 밉다. 현제 진행 상황을 얘기하자면 로그인 인증 로직을 제외한 거의 모든 기능을 구현한 상태다. 하지만 그렇게 localStorage에 저장된 jwt 토큰값을 가져와 일일히 header에 담아주려면 너무 번거로운 뿐더러 헤더에 담기 위해 ajax를 사용하면 render_template으로 view가 렌더링 되지 않고 쌩 HTML 코드가 리턴되는 대참사가 발생해버린다. 정확한 이유는 아직 찾아보지 못했지만 아마 SSR 내부에 렌더링을 해주는 로직과 뭔가가 충돌이 일어나는 것 같다. 처음엔 인증된 사용자만 볼수 있는 View를 반환하려면 뷰를 랜더링 해주는 router, 인증을 수행해주는 ajax 이런식으로 개발을 진행해왔는데 이건 정말 불필요한 노동에 불과하다는 생각이 들어 다른 방법을 ..
오늘은 정글 입소 첫번째 날이다. 바리바리 싸들고 온 짐을 기숙사에 풀고 입소식을 하러 갔다. 영상으로만 보던 김정한 원장님이 나서서 입소식을 진행해주셨다. - 정글 수료자들의 공통점은 자신감을 얻어간다는 것 정글에서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구체화 하는 사람들이 많았음 공부하는 습관을 들여 앞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개발자가 될 수 있을거라고 하심 게임회사가 부트캠프를 하는 이유를 설명해주심 크래프톤의 사회공헌을 위해 함 장병규 의장님의 연설을 들었다 (영상으로) 좋은 개발자란? 장병규 의장님의 경우 늦게 개발을 시작했다고 하심, 처음은 프로그래밍 동아리에서 부터 시작했다고 함 적절한 환경에서 5년간의 몰입 경험이 본인을 성장시킴 과겨 경험을 살려 크래프톤 정글을 만듦 기업에서 바라는 좋은 개발자란 지속..
전낙타
'Krafton_Jungle/Study' 카테고리의 글 목록 (4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