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ydata

·코딩딩/Java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되는 과정을 알아보자. // 스프링 컨테이너에 AppConfig를 등록한다.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ApplicationContext는 인터페이스이고 해당 코드를 보면 알 수 있듯 다형성이 적용되어 있다. 스프링 컨테이너는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에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도 만들 수 있다. (요즘엔 XML은 잘 사용하지 않는 추세다) 직전에 AppConfig를 사용했던 방식이 애노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 스프링 컨테이너를 만..
·코딩딩/Java
for문같은 반복문 안에서 메소드를 호출하면 호출 될때마다 힙 메모리에 해당 메소드가 호출되어 메모리를 더 많이 쓰게된다. 계속 바뀌는 값이면 어쩔 수 없지만 바뀌지 않는 고정된 값이라면 반복문에 들어가기 전 변수에 해당 값을 할당한 뒤 반복문을 돌려주는게 더 효율적이다. Instance member stack과 heap 영역에 할당된다. 인스턴스 멤버란 객체를 생성한 후 사용할 수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말한다. 클래스 멤버는 객체에 소속된 멤버이기 때문에 객체 없이는 사용할 수 없다. 객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값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Static member method 영역에 할당된다. static(정적) 멤버란 클래스의 고정된 멤버로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필드와 메소드를 ..
·코딩딩/Java
Getter (게터)와 Setter (세터): Getter와 Setter는 객체의 상태에 접근하고 조작하기 위한 메서드. 주로 private한 멤버 변수의 값을 가져오거나 설정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Getter는 해당 변수의 값을 반환하고, Setter는 해당 변수의 값을 설정한다. 이를 통해 클래스 내부의 멤버 변수를 캡슐화하여 외부에서 직접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고, 객체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Getter와 Setter 메서드는 public으로 정의됨. Getter: 멤버 변수의 값을 읽어오는 메서드. 예를 들어, getName() 메서드는 이름 멤버 변수의 값을 반환. Setter: 멤버 변수의 값을 설정하는 메서드 예를 들어, setName(String name..
·Playdata/회고
앞으로의 마음가짐 “정말로 좋아했던 일을 했던 경험이 있으십니까?” 방 탈출 카페 창업을 시작하게 된 계기는 사람들에게 내가 만든 이야기를 통해 즐거움을 주고 싶다는 아주 간단한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정말 힘들고 어려운 작업이었지만 좋아하고 원하는 일을 하며 느끼는 보람과 성취감이 더 컸고, 그 고양감은 내 발목을 잡은 피로감을 뿌리치기엔 충분했다. 이젠 그 고양감을 코딩에서 찾아내었고 다시 한번 내 인생을 받쳐주는 축을 하나 세워보고자 한다. 남들보다 한참 뒤떨어진 비전공자이지만 이 간극을 메꾸기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을 것이며 절대로 현재에 안주하지 않을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을 보여 후회를 남기고 싶지 않다. 좋았던 점 사실 부트캠프 과정을 시작하기 전 많은 걱정이 있었다. 혼자서만 공부하..
전낙타
'playdata' 태그의 글 목록 (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