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요세푸스 문제는 다음과 같다.
1번부터 N번까지 N명의 사람이 원을 이루면서 앉아있고, 양의 정수 K(≤ N)가 주어진다. 이제 순서대로 K번째 사람을 제거한다. 한 사람이 제거되면 남은 사람들로 이루어진 원을 따라 이 과정을 계속해 나간다. 이 과정은 N명의 사람이 모두 제거될 때까지 계속된다. 원에서 사람들이 제거되는 순서를 (N, K)-요세푸스 순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7, 3)-요세푸스 순열은 <3, 6, 2, 7, 5, 1, 4>이다.
N과 K가 주어지면 (N, K)-요세푸스 순열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5,000)
출력
예제와 같이 요세푸스 순열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7 3
예제 출력 1
<3, 6, 2, 7, 5, 1, 4>
정답
확실히 알고리즘 문제를 풀 때 자료형의 유형과 deque의 기능을 알고있으면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import sys
# 이 문제는 deque의 기능을 적극적으로 사용할것이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input = sys.stdin.readline
# 사람 수 n과 k의 값을 입력한다.
n, k = list(map(int, input().split()))
# deque 리스트를 만들어준다.
dequeList = deque()
# deque 리스트에 1부터 n까지의 값을 넣어준다.
for i in range(1, n+1):
dequeList.append(i)
# 결과값을 저장할 리스트
listResult = []
# 사람 수만큼 루프를 돌려준다.
for i in range(n):
# 1 부터 k까지 j에 대입해서 루프를 돌려준다.
for j in range(1, k+1):
# 만약 k번 루프를 돌렸을때
if j == k:
# listResult 리스트에 dequeList의 첫번째 값을 추가해준다.
listResult.append(dequeList[0])
# deque 리스트 가장 왼쪽 데이터를 추출, 제거
dequeList.popleft()
# 만약 아직 k번 루프가 돌지 않았을때
else:
# dequeList 내부의 값을 한바퀴 돌려준다.
# rotate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 만큼 list 내부의 값을 한바퀴 돌린다.
# ex) [1, 2, 3] => [2, 3, 1] 정말 편리한 기능인것같다
dequeList.rotate(-1)
# 예제와 같이 출력하려면 약간의 노가다가 필요하다.
print("<", end= "")
for i in range(len(listResult)-1):
print(listResult[i], end=", ")
print(str(listResult[len(listResult)-1])+ ">")
'코딩딩 > BOJ'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24479] 문제풀이 (0) | 2023.05.23 |
---|---|
[백준 2504] 문제풀이 (0) | 2023.05.22 |
[백준 17413] 문제풀이 (0) | 2023.05.19 |
[백준 2445] 문제풀이 (0) | 2023.05.19 |
[백준 1541] 문제풀이 (0) | 2023.05.19 |